현장
-
조혜련의 인생 고백 “아버지 사랑합니다”현장 2025. 3. 30. 11:35
조혜련씨의 인생에는 굴곡이 있습니다. 개그우먼이 되었지만 아버지에게 잘 해드리지 못 해 후회스럽습니다. 조혜련씨의 인생이 담긴 뮤직토크쇼 현장을 다녀왔습니다. [평범한미디어] 조혜련의 인생 고백 “아버지 사랑합니다”[평범한미디어 박효영 기자] 일본 연예인들 앞에서 개그우먼 조혜련씨는 아버지에 대한 사연을 소개했다. 가부장적인 환경에서 자란 딸에게 평생 교육을 못 시켜줘 미안했던 아버지. 아버지는www.normalmedia.co.kr #평범한미디어#조혜련#아버지#부모#효도#강연
-
이낙연의 마지막 승부현장 2025. 2. 10. 22:24
이낙연 전 국무총리가 다시 등판했습니다. 분권형 대통령제 개헌론과 여러 정치 전략들을 들고 왔는데 그야말로 마지막 승부수라고 볼 수 있습니다. 어김 없이 위기론을 밀고 있지만 이번에는 뭔가 다른 분위기가 느껴지기도 합니다. 정치인 이낙연의 마지막 도전일지도 모르겠습니다. 이 전 총리의 광주 시국토론회 기조 연설 현장에 다녀왔습니다. [평범한미디어] 이낙연의 마지막 승부[평범한미디어 박효영 기자]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국회에서 교섭단체 연설의 형식으로 대선 출사표를 발표한 날, 마찬가지로 이낙연 전 국무총리(새미래민주당)도 다가올 조기 대선에www.normalmedia.co.kr #평범한미디어#이낙연#대통령#대권주자#대선후보#조기대선#이재명#윤석열#개헌#국민투표#새미래민주당#더불어민주당
-
AI가 말아주는 인생의 “선택”현장 2025. 1. 26. 13:18
AI 시대입니다. 딥페이크, 알고리즘, 딥러닝 등등 AI 기술들이 익숙합니다. 이쯤 되면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AI가 무엇인지 개념, 본질, 탄생 배경, 종류, 부작용 등을 짚어봐야 합니다. 지난 12월 중순 윤동욱 기자가 관련 강연회에 다녀왔습니다. [평범한미디어] AI가 말아주는 인생의 “선택”[평범한미디어 윤동욱 기자] 바야흐로 AI 시대다. 다들 귀에 딱지가 앉도록 들었을 것이다. 인공지능 AI에 대한 이야기는 많이 들어서 익숙한데 도무지 AI 시대에 어떻게 적응하고 살아야 할지 막www.normalmedia.co.kr #평범한미디어 #AI#강연#인공지능#챗GPT#딥러닝#머신러닝#딥페이크#ABS
-
“인간은 다양성을 혐오하는 동물 같다”현장 2024. 12. 11. 00:20
동물은 생물학적 본능의 범위 안에서 움직입니다. 자연법칙은 다양성을 유지하도록 설계돼 있습니다. 하지만 인간은? 다양성을 짓밟는 쪽으로 문명을 발전시켜왔습니다. 윤동욱 기자가 지난 11월21일 전남대에서 열린 최재천 교수의 강연에 다녀왔습니다. [평범한미디어] “인간은 다양성을 혐오하는 동물 같다”[평범한미디어 윤동욱 기자] 최재천 석좌교수(이화여대)가 지난 11월21일 전남대를 찾았다. 오후 2시 강연인데 대학본부 2층 용봉홀이 꽉 차서 발디딜 곳이 없었다. 좌석이 없어 신문지를 깔고 앉www.normalmedia.co.kr #평범한미디어#최재천#다양성#차별금지법#토론
-
서울과 뉴욕에서만 살다가 ‘제주도’로 내려왔다현장 2024. 11. 24. 06:46
평생 도시 여자로 살아왔지만 코로나가 한창일 때 제주도로 내려갔습니다. 제주도에서의 삶은 해녀들과의 어울림 그 자체였습니다. 박효영 기자가 예술가 요이씨의 강연을 듣고 정리해봤습니다. [평범한미디어] 서울과 뉴욕에서만 살다가 ‘제주도’로 내려왔다[평범한미디어 박효영 기자] 평생 대도시에서만 살았다. 스스로 “도시 여자”라고 생각해왔다. 그런데 코로나가 막 시작할 즈음 제주도로 내려와서 살고 있다. 예술가로 활동하고 있는 요이씨www.normalmedia.co.kr #평범한미디어#제주도#자연#바람#해녀#페미니즘#예술#바다#물때#요이
-
‘청년 일자리’가 얼마나 불공정한지 아는가?현장 2024. 11. 11. 05:48
같은 일을 하는데 비정규직과 정규직 신분에 따라 차별이 만연합니다. 양질의 청년 일자리는 턱없이 부족합니다. 윤동욱 기자가 지난 10월25일 노동 전문 전혜원 기자(시사인)의 강연에 다녀왔습니다. 올 2월 이후 9개월만에 윤 기자가 직접 기사를 작성했습니다.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. [평범한미디어] ‘청년 일자리’가 얼마나 불공정한지 아는가?[평범한미디어 윤동욱 기자] 청년 일자리 문제는 두말하면 입이 아픈 한국 사회가 직면한 고질병 중 하나다. 좋아본 적 없는 경제와 마찬가지로 청년 일자리가 넘쳐난다는 기사는 여렸을 때도www.normalmedia.co.kr #평범한미디어#청년노동#청년일자리#청년실업
-
컴공과 ‘찐 공대생’이 네이버에서 ‘AI 정책’을 맡기까지현장 2024. 11. 2. 21:32
컴공과 여성 공대생으로서 무조건 개발 직군으로 취업하고 싶었습니다. 하지만 막상 개발자가 되니까 정책 연구를 해보고 싶어졌습니다. 삼성에서 네이버로, 네이버 개발직에서 정책 연구직으로 옮기게 된 서사가 있습니다. 네이버에서 AI 정책 및 커뮤니케이션 업무를 맡고 있는 정지원씨의 취업특강을 정리해봤습니다. [평범한미디어] 컴공과 ‘찐 공대생’이 네이버에서 ‘AI 정책’을 맡기까지[평범한미디어 박효영 기자] 전남대 공대생들이 잔뜩 모인 자리였다. 누구나 선망하는 대한민국 대표 IT 기업 네이버에 입사한 정지원씨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였다. 지원씨는 “현재 네이버에서www.normalmedia.co.kr #평범한미디어#네이버#공대생#컴퓨터공학과#AI#IT#취업